근로자 궁금증
퇴직금, 정확히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Saul Goodman
2025. 2. 18. 09:31
퇴직금, 정확히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퇴직금을 받을 때가 되면 가장 궁금한 것이 바로 “정확한 금액은 얼마일까?”입니다.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근무했을 때 법적으로 보장되는 금액이지만, 구체적인 계산 방법을 모르면 예상보다 적거나 많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금 계산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은 근로기준법 제34조에 따라,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가 퇴직할 경우 지급됩니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퇴직금 계산 기본 공식
퇴직금은 아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 임금) × 30일 × (재직 연수)
- 1일 평균 임금: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급여 ÷ 3개월간의 총 일수(90일 또는 실제 근무일수)
- 재직 연수: 근속 기간(년 단위)
즉, 퇴직 직전 3개월간의 급여가 중요하며, 연차수당, 성과급 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퇴직금 계산 예시
예제 1: 기본적인 계산
- 퇴직 전 3개월 총 급여: 900만 원
- 3개월 총 일수: 90일
- 재직 연수: 5년
1일 평균 임금 = 900만 원 ÷ 90일 = 10만 원
퇴직금 = 10만 원 × 30일 × 5년 = 1,500만 원
예제 2: 수당 포함된 경우
- 기본급: 3개월간 750만 원
- 연차수당: 3개월간 150만 원
- 성과급: 3개월간 100만 원
- 3개월 총 일수: 90일
- 재직 연수: 7년
총 급여 = 750만 원 + 150만 원 + 100만 원 = 1,000만 원
1일 평균 임금 = 1,000만 원 ÷ 90일 = 11.1만 원
퇴직금 = 11.1만 원 × 30일 × 7년 = 2,331만 원
3. 퇴직금 지급 기한 및 유의사항
퇴직금은 퇴직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지급해야 합니다.
퇴직금이 적게 나올 수 있는 경우:
- 계산 기준 오류: 기본급만으로 계산될 경우 퇴직금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
- 수당 누락: 연차수당, 상여금, 성과급 등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 지급 지연: 회사가 지급을 미루면 연 20% 지연 이자 발생
4. 퇴직금 계산 시 유용한 팁
-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활용
- 퇴직 전 3개월 급여 관리 (연차수당, 성과급 포함 확인)
- 퇴직금 지급 거부 시 노동청 신고 가능
5. 마무리
퇴직금은 오랜 기간 일한 대가로 받는 중요한 금액입니다. 정확한 계산법을 알고 있어야 예상치 못한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퇴직을 앞두고 있다면, 미리 퇴직금을 계산해 보고 준비해 두세요!